본문 바로가기

생활Q&A

1980년대 대한민국 경제 성장율은?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0107

 

한국경제 80년(1970-2050) 및 미래 성장전략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한국은행은 한국경제 80년(1970-2050) 및 미래 성장전략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한국경제는 1970~2022년중 연간 6.4% 성장하였으며, 이중 자본투입이 3.4%p로 절반 이상 기여한 가운데 노동투

eiec.kdi.re.kr

 

197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경제는 연평균 6.4% 성장했으며, 자본투입이 3.4%p로 가장 크게 기여했습니다. 또한, 노동투입과 TFP는 각각 1.4%p, 1.6%p 기여하였습니다. 1970년대 8.7%에서 1980년대 9.5%로 성장률이 최고점을 찍은 후, 각 10년마다 성장률이 2~2.5%p씩 감소하여 2010년대에는 2.7%, 2020~2022년에는 2.1%로 떨어졌습니다. 고성장기, 아시아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후에는 각각 노동투입 둔화, 자본투자 부진, TFP 정체가 경제 성장률 하락의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앞으로 30년간 경제 성장은 노동투입 감소와 자본투입 증가세 하락으로 생산성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며, TFP가 높게 유지될 경우 2040년대 경제성장률은 0.2%로, 낮게 유지될 경우 -0.1%로 전망됩니다.


They must often change who would be constant in happiness or wisdom. – Confucius